비건 입문서 <월드피스 다이어트 World Peace Diet> by 윌 터틀(Will Tuttle)

Posted by Gloria Ming
2018. 5. 5. 23:39 비건 관련 도서

 

21세기 가장 중요한 책의 하나로 일컬어지는 <월드피스 다이어트  World Peace Diet>는 16개국어로 번역 출간되었다. 작가인 윌 터틀 박사님은 전직 철학교수로 현재는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이면서 영향력있는 연사로 전세계를 다니며 비건 채식 식단의 이로움을 알린다. 윌 터틀 박사는 특히 한국과의 특별한 인연이 있는데 바로 20대 초반에 앨마배마 주 헌츠빌의 한국 불교 선원과 인연이 닿아 불교 수련에 첫발을 내디뎠는데 이로써 명상과 채식생활을 배우고 십선계를 따랐다고 한다. 이후 한국의 다른 불교 사찰을 방문하면서 터틀 박사는 그동안 받은 문화적 세뇌의 본질에 대한 통찰력을 갖게 되었다고 했다.

 

터틀 박사님은 책에서 이론과 과학을 사용해 육식이 인류에게 결코 좋은 선택이 아니란 걸 밝힌다. 오래전부터 문화적으로 이 생각을 주입해 우리는 선택의 여지가 없었던 것이다. 그러는 동안, 동물의 고통과 착취, 죽음은 우리 시야 밖에 숨어있었던 것이다.

 

우리가 먹는 사과 하나는 그냥 사과 한 알이 아니다. 사과는 사과나무의 열매이고 그 열매를 맺기까지 사과나무는 꽃을 피워야 했고 그 꽃을 피우는 나무가 되기까지 수많은 시간을 비와 구름, , 바람, 햇빛, 헤아릴 수 없는 동식물 그리고 때론 농부의 애정어린 보살핌과 함께 했을 것이다. 이런 사실을 인식하면서 사과를 한 입 배어무는 순간 우린 전부 연결되어 있는 더 큰 전체의 일부이며 이 섭식이란 행위를 통해 또한 먹고 먹히면서 하나가 되는 과정이 있을 뿐이라는 사실을 문득 깨닫게 된다. 그렇게 섭식이 그저 인간이 생존하기 위해 본능적으로 일어나는 행위인 것 같지만 섭식이 지닌 영적 중요성은 매우 지대하다는 관점에서 박사님은 현대 사회가 지닌 모든 문제의 근원은 여기서 시작한다고 말한다.

 



농업혁명이 일어나고 목축문화가 형성되면서 가장 원초적인 행위가 육식이 된 것이다. 또한 자본주의 경제체제는 여러 제도를 들먹이며 동물과 자연 및 인간을 상품화하고 착취하기에 이르렀다. 이런 체제를 유지하면서 진정한 진보를 이루는 것은 어불성설. 그래서 한번 더 터틀 박사님은 그에 대한 해결방안을 우리의 식탁에서 찾으면 된다고 한다. 어떻게?! 현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이 원래 그게 맞는 줄 알고 세습해온 동물의 고기를 먹는 것은 인간에게 꼭 필요한 것이란 생각을 비건 채식으로도 충분히 건강하게 먹고 생활할 수 있다고 전환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건 이미 수많은 과학적 연구와 수많은 사람들의 체험을 통해 사실로 드러나고 있다.

 

인간이 동물 학살을 계속하는 한 서로를 죽이는 행위 또한 멈추지 않을 것이다. 살해와 고통의 씨앗을 뿌리는 자는 진실한 기쁨과 사랑의 열매를 수확할 수 없는 법이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피타고라스의 말이다. 박사님은 우리가 피타고라스뿐 아니라 레오나르도 다빈치,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마하트마 간디, 조지 버나드 쇼, 에밀리 디킨슨, 알베르트 슈바이처와 같은 천재들이 준 달콤한 변화는 아낌없이 수용하고 활용하면서 그분들의 훌륭한 지력이 피어난 정신의 바탕에는 목축문화에 대한 반기 즉 육식에 대한 비난과 동물과 모든 생명에 대한 사랑이 있었음을 철저히 외면한다고 지적한다. 이런 지적은 터틀 박사님 스스로 비건 채식을 실천하며 자신이 쌓아온 철학적 지식과 삶의 지혜를 통해 현대 사회를 깊은 통찰한 대목이란 생각이 든다.

 

우리가 학교에서 배웠던 내용을 되돌아보면 직각삼각형에서 빗변의 제곱은 다른 두 변의 제곱의 합과 같다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수학 교과서에서 배우고 아인슈타인 박사의 상대성 이론과 공식E=mc2에 대해서는 물리학 교과서에서 배웠지만 이 분들이 이러한 발견을 한 배경이나 그 삶에 대해서는 딱히 배우지 못했던 거 같다. 당시 독서의 중요성을 선생님들이 강조하셔서 따로 위인전이나 참고 서적을 더 챙겨봤어도 학생들이 보는 수준의 책에서는 그분들의 깊은 정신세계에 대해 깊이 알 수는 없었던 것 같다. 앞서 언급한 위인들이 채식을 했다는 사실도 내가 채식을 하고 나서 따로 정보를 찾아보고서야 알게 되었던 터다. 나보다 물리학 또는 수학에 대해 더 전문적인 학식이 많은 박사님이라 해도 아인슈타인 박사나 피타고라스 철학자가 생전에 채식을 했었고 그 의미는 무엇이었는지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는 분들이 몇 명이나 될까?!

 

사람들 대부분이 지금의 식습관을 형성하게 된 것은 태어나서 스스로 식사에 대한 선택권이 생기기 전까지 그들의 부모님이 차려주신 식탁의 음식의 기여도가 가장 클 것이다. 그래서 동물성 음식 섭취는 필수적이자 자연스러운 것이라고 알게모르게 세뇌를 당해왔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치 자신의 음식 선택은 자유의사로 결정한 것처럼 느끼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터틀 박사님은 책에서 부모와 문화가 물려준 세계관을 깨어있는 의식으로 고찰하고 의문을 제기하기 위해 불교 용어인 출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출가는 조지프 캠벨이 말한 영웅의 여정, 즉 집과 문화의 한계 밖으로 내면 여행을 떠나 더 높은 깨달음과 내적 성장을 이룬 후, 사회를 개선하고 생기를 불어넣을 새로운 힘을 얻어 되돌아오는 과정에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터틀 박사님은 젊은 시절 티벳 불교명상원과 한국의 송광사에서 몸소 체험했던 출가를 통해 자신이 깨우쳤던 바가 있기에 이와 같은 생각을 할 수 있었던 것 같다. 물론 출가를 했거나 해봤던 많은 사람이 박사님과 같은 생각을 한 것은 아니지만 박사님이 책에서 출가를 언급한 데에는 사회적 인간의 틀에서 벗어나 보길 바란다는 의미를 포함하는 것 같다. 우리는 집단의 일원으로 조화롭게 어울려 살기를 원하므로 동물성 음식 섭취라는 거대한 문화적 관습을 진지하게 돌아보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맛에 대한 고찰로도 이어진다. 어린 시절부터 알게 모르게 동물성 고기에 길들여진 입맛에서 벗어나 온전히 비건 채식을 해보길 권하는 것이다.


그러면서 터틀 박사님은 식탐에 대한 자신의 경험과 함께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한다. 닐 버나드 박사에 의하면 과학적으로 맛이 유지 기간을 필요로 한다는 점, 즉 미각 담당 세포들이 3주에 한 번꼴로 교체되므로 동물성 음식 맛을 잊어버리는 데 ‘2~3주면 충분하다고 했다는 것이다. 즉 새로운 미각 세포들이 식물성 음식 맛에 익숙해지므로 동물성 음식에 대한 식탐 대부분이 사라진다는 뜻이다.


우린 다수가 공유하는 목축문화의 세계관에 지배당하면서 육체와 정신의 합일에 바탕한 플라시보 효과에 속아왔다고 박사는 말하면서 채식으로 전환하는 초기에 더 불편해지는 경우가 플라시보 효과의 거대한 힘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그러므로 힘과 기력을 얻기 위해 반드시 동물성 음식을 먹어야 한다는 문화적 신념은 의식적으로 떠나보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소고기나 돼지고기, 닭고기 말고 생선과 유제품은 괜찮을까? 물고기와 조개류 역시 동물성 포화지방, 콜레스테롤, 동물성 단백질로 가득하므로 심장질환, , 비만, 당뇨병을 일으키기 쉬운 건 마찬가지라고 한다. 또한 미국인 한 사람이 섭취하기 위해 기르는 식용 동물들의 배설물 총량은 연간 1만 파운드에 달하는데 이 배설물이 강, 호수, 냇물, 대수층으로 흘러가 결국 바다를 오염시키게 되고 이러한 환경 독소는 물고기들의 지방조직에 축적된다. 여기에 더해 박사님은 공장식 양식어장에서 직접 목격했던 처참한 장면을 책에서 언급한다. 우리에게 우유를 제공하는 오늘날의 젖소들은 야생에서 새끼를 낳아 키우는 데 필요한 양보다 훨씬 많은 젖을 생산하도록 강요당한다고. 원래는 모든 포유동물이 그러하듯 새끼를 낳은 시점부터 약 7개월 동안 종형 곡선을 그리며 젖을 분비한다고 한다. 하지만 사료와 호르몬을 사용해 억지로 더 많은 젖이 나오도록 하는 것이다.


9년 전인가 어떤 채식 세미나에서 유럽의 한 동물보호단체의 담당자가 나와 발표하는 자리에서 어미 젖소가 송아지를 나으면 강제로 분리시키는데 특히 그 송아지가 수소인 경우엔 TV에서 봤던 입에서 살살 녹는 부드러운  송아지 살코기가 된다는 것이다. 그분이 모든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시는 내내 난 그 자리에서 정말이지 처절하게 눈물을 흘리며 흐느끼지 않을 수 없었다. 너무 울어서 나중엔 살짝 탈진증세까지 보였는데 어미 젖소와 송아지가 당한 끔찍한 고통을 상기하면 너무나 가슴이 아팠다. 이렇게 글로 쓰고 있는 지금도 울컥한다. 우유에 대해 책에서 박사님도 똑 같은 이야기를 하더라. 결국 젖소는 인간에게 우유를 제공하기 위한 동물이 아니라 인간과 똑같이, 다른 포유류 동물들과 똑같이 오직 자신의 새끼인 송아지를 위해 젖이 나오는 것이다. 그러니 낙농업은 어미 소에게서 송아지를, 송아지로부터 어미의 젖을 강탈하는 도둑질이라고 말할 수 밖에 없다.

 

박사님은 독자들에게 진화를 할 것인가 아니면 소멸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선택은 결국 각자의 몫이므로. 하지만 박사님은 본인이 겪었던 변혁의 여정으로 다시 독자를 안내한다. 왜냐하면 자신도 지금 알고 있던 사실들을 처음 알게 되고 선택하는 과정이 있었으니까. 그리고 박사님 자신은 결국 지금의 자신을 낳은 선택을 했고 자신은 지금 희망과 찬미 속에 살아가고 있음을 확인해준다.


채식생활을 시작하면 그것이 어떤 제약이 아니라 조화로운 충족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시간이 지나면 이런 삶이야말로 진실의 자유로운 표현이라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 자신과 세상을 향해 자발적으로 표출되는 빛나는 사랑이지요.”

박사님이 책의 말미에서 채식에 대해 궁극적인 이유로 언급한 내용이다. <월드피스 다이어트>는 인류문화와 현대사회를 굉장히 명백하게 깊이있게 통찰하여 폭로하고 비건 채식을 친절하면서도 강력하게 설득하고 있다. 한국어 번역서의 소제목인 세상을 구원하는 음식 혁명이란 말이 딱 들어맞는다. 그래서 오히려 이 책을 비건 채식에 대한 관심의 유무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읽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인류의 다면적인 딜레마를 해결할 수 있는 통찰과 방법을 알려줄 테니까.

 

“The reason why I wrote was to offer the world a deeper understanding in view of the consequences of our routine mistreatment of animals for food and for othe rproducts, and to show that a vegan way of living is enormously beneficial on every level, to our physical health, to our cultural health, to our environmental health, to our psychological health and to our spiritual health.”

(윌 터틀 박사님)가 이 책을 쓴 이유는 음식이나 다른 상품으로 사용하기 위해 일상적으로 일어나는 동물 학대의 결과를 세상이 깊이 이해하게 하고 또 비건 채식 생활 방식이 신체 건강, 문화적 건강, 환경적 건강, 심리적 건강, 우리 내면의 건강 등 모든 수준에서 엄청난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보여주기 위해서였습니다.